지구가 따뜻해지면 많은 것들이 좋아질 수 있답니다. 누구에게 좋은것은 누군가에게 나쁜것입니다. 지구가 따뜻해지면 나빠지는 것들이 많아요. 동시에 좋아지는 것도 있지요. 지구가 따뜻해지면 지구는 새로운 균형을 찾아서 따뜻한 것을 좋아하는 생물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고 그들이 번성할 환경을 만들어줄겁니다. 지구가 따뜻해지면 사람들도 더 건강해지는 것 알아요? 물론 장기적으로 본다면 말이지요. 왜 그런지 알려줄게요. 모든 것은 너무 간단하고 명료해요. 이번 여름, 끓어오르는 기온이 많은 사람들을 불편하게 했지요. 농작물이 타들어가고, 가축들이 열기에 질식사 했어요. 그러는 가운데에 번성한 것들이 있답니다. 바로 4대강의 녹조들. 녹색을 띄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따뜻해진 기온으로 말미암아 강에 엄청나게 번성하면 강물은 녹색이 되요. 녹조현상이라 하더라구요. 강에는 사람들이 흘려보내는 많은 양의 하수가 흘러들어갑니다. 비가 오면 도시의 오염이 강으로 흘러들어가지요. 그것들은 다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식물성 플랑크톤, 즉 녹조류의 양분이 됩니다. 거기에 따뜻한 온도가 녹조류가 살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줘요. 인간들이 석탄연료를 사용하며 뿜어낸 탄소, 인간의 유제류 가축들-소 염소 등-이 뿜어내는 메탄 등이 태양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쥐고 안놔주면 지구는 뜨뜻해져요. 다 배워서 알지요. 요즘 많이 따뜻해요. 덕분에 녹조류들은 살판났어요. 지구의 균형은 녹조류들에게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어요. 녹조류들은 영양소를 분해해 에너지를 만들면서 독소를 만들어내요. 독성물질은 마이크로시스틴과 색시토신이예요. 마이크로시스틴은 간 독성물질로 발진이나 구토, 설사, 두통, 고열, 간 종양을 발생시키고, 색시토신은 신경계에 작용하는 독으로 인체에 유입됐을 경우 섹시하게도 감각을 둔화시키고 언어능력을 잃게 만든답니다. 자기들도 살아야 하니 방어도 할 겸 만들어내는 물질 이에요. 녹조류가 사람들과 전쟁이라도 하겠다며 만들어내는 거지요. 그런 물 마시고 살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