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생활인 게시물 표시

70년대 개발논리? 그럼 2018년도는?

작년 6월, 작업실 이사 뒤 영등포구 양평동은 개발의 붐이 일고 있습니다. 양평동 주변에 공사하는 곳이 잔득 들어서고, 금년 초에는 옆집을 허물고 새 건물을 짓기 시작해 지금은 붉은 벽돌건물로 거의 완성 되었습니다. 앞 집, 대각선 뒷집, 작업실 들어오는 골목집, 작업실 주변에서 보이는 건설현장만 해도 예닐곱 군데가 넘습니다. 급기야 뒷 집 두 채를 허물어 큰 건물 한 채로 짓는다고 하는군요. 뒷 집은 건축하는데에 문제가 많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들어오는 단 한 곳의 입구가 저렇게 좁습니다. 1.5톤 트럭이 들어오면 사람들이 다니기 힘들고, 포크레인 한 대가 들어오면 사람들은 지나다닐 수 없습니다. 저 포크레인을 운전하는 분, 운전 실력이 정말 대단합니다. 저기를 들어오다니... 문제는 저 길을 통과해야 작업실에 들어갈 수 있는 문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결국 영등포구청에 민원을 넣어야 했습니다. 저런 큰 기계가 들어오면 사람이 다닐 수도 없을 뿐 더러, 특수 건설 차량이 길을 막고 있으면 위험했기 때문입니다. 사기업은 이윤을 위해 모든 것을 합니다. 하지만 국가는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법을 만들고 행정을 하면 안됩니다. 사람들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행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저렇게 좁은 골목을 통해 건설을 하려면 사람들의 안전과 통행이 먼저 확보되어야 하고, 그것을 확인 한 후 건축 허가를 내주는 것이 행정의 단계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이번 민원을 넣으며 모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첫 번째로 그러한 일반 민원을 넣는 창구가 구청에는 없습니다. 그런 일반 민원은 인터넷을 통해 접수해야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접수하는 방법은 1. 인터넷 민원 페이지에 들어간 뒤 2.통합보안프로그램을 깔고, 3.브라우저를 껏다가 다시 켜고, 4. 민원페이지에 다시 들어가서, 5.휴대폰 인증창이 뜨고, 6. 인증 양식을 작성한 뒤 개인정보 활용 동의를 다 누르고 '다음'을 누르면 7. KT인증 앱을 깔라고 경고창이 뜨고, 8. KT인증 앱...

저출생에 관한 단상 - 2.저출생으로인하여 국가 경제가 파탄난다?

뉴스의 경제란에 저출생에 관하여 이야기 할 때 빠지지않고 나오는 이야기는 국가 경제의 파탄입니다. 아마 ‘경제’라는 용어의 정의를 잘 모르는 듯 합니다. ‘경제’라는 단어는 經世濟民(경세제민)이라는 단어로부터 나왔습니다. ‘세상을 일구어 민중을 구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세상을 일구는 것은 생산을 뜻하고, 민중을 구한다라는 것은 민중을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사람이 많으면 사람들이 생활에 필요한 것이 많아지니  많이 생산을 해야하고, 사람이 적으면 그만큼 필요한 것이 적어지니 적게 생산하면 됩니다. 생활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은 소비를 뜻하겠지요. 사람이 많아지면 많아진 사람만큼 소비를 늘려야 합니다. 즉 인구가 많아 필요한 것이 많아지면 많이 생산을 해야합니다. 많이 생산하려면 많은 사람들이 일을 해야 하니 많은 인구가 생산을 하게 됩니다. 인구가 적으면 적게 생산을 해도 됩니다. 인구가 적어 소비인구가 적어지니 당연이 생산도 적게 하겠지요. 경제는 균형입니다. 삶에 필요한 것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필요한 것보다 더 생산을 하면 풍요해집니다. 필요한 것보다 적게 생산하면 부족해집니다. 이것은 인구 대비 생산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10이라는 인구가 10을 생산하면 균형을 이룬다라는 가정하에 10명이라는 인구가 20을 생산하면 두 배 풍요로와지고, 10명이라는 인구가 5를 생산하면 두 배가 부족해집니다.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그렇습니다. 현실은 이론과 달라 많은 변수가 경제를 구성합니다. 10명 이라는 인구가 20을 생산해도 1은 풍요로운데 9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1명이 생산의 12를 가져가고 나머지 9가 8을 나눠가져야 할 때 9명은 조금 부족함을 느낍니다. 총생산 대비 총인구는 부족함과 충분함에 대하여 큰 이야기를 해주지 않습니다. 총생산 대비 총인구에서 총생산이 총인구를 먹여살리기 부족할 때 그 수치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인구가 경제의 풍요와 파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 입니다. 인구...

탈모, 피부 트러블의 원인인 모낭충 제거 방법

모낭충(Demodex mite)은 피부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 진드기의 일종입니다. 모낭충은 보통 모공이나 피부 땀샘에 서식합니다. 피부에 기생하는 진드기라는 말이 혐오감을 일으킵니다. 사전적 정의와는 다르게 적당한 개체수가 유지되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보통 사람들의 모공 하나에 1~3개체가 서식합니다. 오히려 모낭충과 오랬동안 공생해왔다고 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 18종의 모낭충이 발견되었고, 크게 두 종류로 나누면 데모덱스 브레비스와 데모덱스 폴리큘로롬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브레비스는 땀샘에 서식하고 폴리큘로롬은 체모가 있는 모공에 서식합니다. 모낭충이 적당히 있으면 문제가 없겠지만, 여름이 되면 모낭충의 번식은 빨라집니다. 그러면 모공 하나에 20~30마리가 자리다툼을 하게 됩니다. 모낭충의 사체가 피지와 함께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모낭충의 사체가 쌓이기 시작하면 피부의 트러블이 시작됩니다. 빠져나와야 할 모공을 막고 있으니 안쪽에서 바이러스의 서식을 돕고 피부의 분비물이 빠져나올 수 없어 여드름이 생깁니다. 또한 모공 안에서 모발에 공급되는 영양을 차단하게 되니 탈모의 원인이 됩니다. 모낭충 과다 번식 예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피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주는 것 입니다. 모낭충은 산성에 매우 약해 피부가 약산성을 유지하면 번식할 수 없습니다. 약국에서 모낭충 제거 약을 사서 바르는 방법도 있겠지만, 추천할만한 방법은 아닙니다. 약품이 오히려 알러지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피부를 어떻게 약산성으로 만들어주냐고요? 그 또한 아주 간단합니다. 식초를  세안 후 혹은 머리 감고 난 후 행굼물에 몇 방울 떨어뜨리고 행궈주면 됩니다. 보통 클랜징, 비누 같은 세정제는 알칼리성입니다. 알칼리성 환경은 모낭충이 번식을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몸을 씻고 나면 피부는 약한 알칼리성이 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피부는 약산성을 띄는데 세안을 하고 나면 피부는 알칼리성을 띄게 됩니다. 알칼리를 띄는 피부를 산성으로...

계면활성제, SLS, SLES, PEG. 그밖의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photography from  http://binou.co.kr/ ]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말이 많습니다. 독성물질이라는 말도 있고, 발암물질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시중에 사용되는 세제나 화장품등에 첨가되는 계면활성제에는 여러 종류가 있어서 맞는 말도 있고, 잘못된 정보도 있습니다. 몇 가지 주의해야 할 물질들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어떤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있는지 알아보기 전에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이 섞여있도록 만들어주는 물질입니다. 세제나 비누의 경우 계면활성제는 지방이나 지용성 물질들이 물에 섞여 떨어져나가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화장품의 경우 여러가지 지용성 수용성 물질들이 고르게 섞여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제품의 상태에 따라 에멀젼(emulsion:수성), 크림(cream), 폼(form) 등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런 상태를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계면활성제가 담당합니다. 계면활성제가 없으면 각각 물질들이 수성과 지성으로 니뉘어 수성위에 지방성 물질이 둥둥 떠있는 형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따라서 나뉘어진 물질을 피부에 골고루 바를 수 없어 화장품의 효과가 줄어들게 됩니다. 가장 오랬동안 사용되어왔고, 자연에서 생분해가 잘 되며, 피부에 자극이 적은 것은 천연비누입니다. 비누 제조는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현존하는 모든 지방은 천연 비누로 만들 수 있습니다. 천연비누를 사람들은 천연 계면활성제라고 부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천연 계면활성제는 아닙니다. 천연 계면활성제는 식물이 만들어내는 레시틴(Lecithin)이나 인삼에 많이 포함되어있는 사포닌(Saponin)같은 물질들인데 추출해내기 어렵고 가격 또한 무척이나 비쌉니다. 인삼 농축액으로 세수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누는 지방을 수산화나트륨(NaOH)이나 가성가리(kOH)와 반응시켜 만든 화학 계면활성제입니다. 두 성분 모두 염기성 물...

70년 역사의 영등포 공구상가. 생산성과 생산, 개발과 개선

70년 역사의 영등포 기계상가와 재래시장이 사라지고있습니다. 여기서 삶을 이루고 일터를 만들어 살고있는 사람들은 어디로 쫓겨나겠지요. 저는 집에서 영등포구 양평동에 있는 작업실까지 자전거를 타고 다닙니다. 약 15Km정도 되는데, 아침 저녁 운동으로 딱 좋은 거리 입니다. 자전거를 타고 가다보면 이곳을 지나게 됩니다. 어느날 지나다 보니 거리 위로 현수막이 걸렸습니다. "70년 재래시장 생존권을 보장하라!" 이 현수막을 보는 순간 마음이 착잡합니다. 이들은 또 어디로 가야하는 것일까?  이명박, 오세훈 서울시장이 재임할 무렵 동대문운동장과 청계천 주변을 재개발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쫓겨났습니다. 먼저 이명박이 청계천을 개발하며 황학동 시장의 중고시장을 운영하던 분들을 동대문운동장에 밀어넣었습니다. 그곳에서 장사가 될 리 없었습니다. 황학동이라는 지역이 간직한 역사와 문화까지 동대문운동장에 밀어넣을 수는 없었습니다. 황학동의 문화와 삶이 동대문운동장이라는 공간 안에 자리잡기에는 그곳의 환경은 척박했습니다. 결국 오세훈은 동대문운동장을 자하 하디드라는 세계적인 건축가에게 맏겨 재개발하고, 그곳에서 삶을 위해 발버둥치던 사람들을 모두 밀어냅니다. 황학동에 상권을 형성하고 있던 사람들의 생존권과 중고시장의 추억이 모두 이렇게 "개발"이라는 이름 하에 사라져버렸습니다. 그곳에는 "동대문 문화 역사공원"이라는 역사에 어울리지 않는 공간이 생겼습니다. 박근혜의 국정교과서를 보는 기분입니다. 세탁된 역사. 시각적인 미학이 진짜 역사를 세탁하는 공간. 이 사람들의 생존권만큼이나 중요한 문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70년간 공업지대를 형성하던 이곳의 환경이 개발이라는 이름 하에 파괴되고 있다는 것은 생존권만큼이나 중요한 문제 입니다. 사람들은 겉모습 화려한 도시를 좋아합니다. 번듯한 건물들이 보도블럭 위로 솟아 올라 지저분해보이는 삶의 이면을 가려줄 수 있으면 세련된 도시 공간에 세련된 삶이 이루어지는 ...

무엇을 만들까?

만들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우리는 손으로 꼼지락꼼지락 만들 수 있는 것을 만듭니다. 비누, 뜨게질, 파우치, 가방, 목공예... 만든다는 것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합니다. 무엇인가를 만든다는 것이 재료를 가공해서 새로운 존재로 태어나게 한다는 뜻이기도 하지만 그 물건에 얼마만한 가치를 부여했느냐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놈의 가치..... 가치의 평가 기준은 각 사회에 퍼진 담론, 문화, 철학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만들어낸 물건(?) 혹은 작품은 그 물건이 어떤 사회에 있느냐에 따라 다른 가치를 가집니다. 나와 나의 아내가 만든 물건에 얼마만큼의 가치를 부여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그 물건 혹은 작품을 보는 사람들이 어떠한 가치를 부여할 지 항상 궁금합니다. 자본주의 사회라면 그것을 돈으로 환산하겠지요. 자본주의 사회에서 만들어낸 그 무엇은 곧 팔 수 있는 상품을 떠올립니다. 팔 수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예술가는 작품을 팔고, 노동자는 노동을 팔고, 뮤지션은 연주와 음악을 팔고, 작가는 글을 팔고... 모든 것을 팔 수 있다보니 "얼마나 비싸게 팔 수 있는가"가 너무도 중요해져 버렸습니다. 가격을 많이 받지 못하는 물건은 가치 없는 물건이 되어버렸습니다. 가격과 가치는 엄연히 다른 개념인데도 가격과 가치가 동일화 되어버렸습니다. 가사노동에 큰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니 가사노동이 싸구려가 되었습니다. 노동에 큰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니 노동이 싸구려가 되었습니다. 싸구려 인생도 있겠지요.... 씁쓸... 손으로 조물딱 조물딱거리며 직접 만들고, 그 물건에 어떤 가치가 들어가는지 시험중입니다. 우리가 그 물건에 어떤 가치를 부여하던, 어떤 사람들은 가격을 매기겠지요.

구조

둥지에서 떨어진 비둘기 한 마리를 구조했습니다. 일주일 만에 거의 성체가 된 오로로(오로로라는 이름을 지어주었습니다.), 비둘기는 성장이 무척이나 빠릅니다. 오른쪽 다리가 부러진 듯 합니다. 저는 수의사가 아니기에 어떻게 치료를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부러진 다리에 부목을 대어 고정을 시켜준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기는 하지만, 어디가 어떻게 부러졌는지 알아내어 바르게 고정시켜주는 법은 알지 못합니다. 비둘기를 구조하며 여러가지 생각이 교차합니다. 자연은 이렇게 부상당한 아기 새에게 죽음을 처방합니다. 아기새의 죽음은 고양이나 유기견의 먹이가 될 것이고, 나머지 사체는 다른 생명의 영양분이 될 것이기에 자연은 냉정하게 죽음의 처방을 내립니다. 부상당한 비둘기를 발견하고 저와 함께 있던 아내는 냉정한 처방을 내리지 못하고 구조라는 처방을 내립니다. 아내와 함께 데리고 온 오로로는 이제 제법 컷고, 쩔둑거리기는 하지만 나름 걷기도 합니다. 어제부터는 아내와 함께 나는 연습을 시켜주었습니다. 다음 주 안에 오로로를 자연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금의 이 구조 행위는 자연의 법칙에 반하는 것일까요?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 비둘기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도시라는 환경 안에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비둘기는 과연 자연에 속한 생물일까요? 비록 같은 환경 안에서 따로 살고는 있지만 우리는 비둘기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일까요? 몇 년전 읽은 책에서 한 생물학자가 숲에서 발견한 골프공을 보며 비슷한 생각을 합니다. 이 골프공은 자연의 일부일까, 아니면 인공물이 자연에 침범한 것일까? 그 생물학자는 골프공이 자연에 떨어져있다면 그것은 또한 자연의 일부다. 자연은 지금 여기에 있는 모든 것을 바탕으로 상호작용하는 모든 행위들을 포괄하기 때문이다. 라는 판단을 하고 자연 속에 있던 골프공을 들고나오지 않고 있던 자리에 그대로 놓고 나옵니다. 저와 아내는 다른 판단을 합니다. 비둘기를 구조하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로 합니다. 자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