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의 경제란에 저출생에 관하여 이야기 할 때 빠지지않고 나오는 이야기는 국가 경제의 파탄입니다. 아마 ‘경제’라는 용어의 정의를 잘 모르는 듯 합니다. ‘경제’라는 단어는 經世濟民(경세제민)이라는 단어로부터 나왔습니다. ‘세상을 일구어 민중을 구한다’라는 의미입니다. 세상을 일구는 것은 생산을 뜻하고, 민중을 구한다라는 것은 민중을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사람이 많으면 사람들이 생활에 필요한 것이 많아지니 많이 생산을 해야하고, 사람이 적으면 그만큼 필요한 것이 적어지니 적게 생산하면 됩니다. 생활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은 소비를 뜻하겠지요. 사람이 많아지면 많아진 사람만큼 소비를 늘려야 합니다. 즉 인구가 많아 필요한 것이 많아지면 많이 생산을 해야합니다. 많이 생산하려면 많은 사람들이 일을 해야 하니 많은 인구가 생산을 하게 됩니다. 인구가 적으면 적게 생산을 해도 됩니다. 인구가 적어 소비인구가 적어지니 당연이 생산도 적게 하겠지요. 경제는 균형입니다. 삶에 필요한 것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필요한 것보다 더 생산을 하면 풍요해집니다. 필요한 것보다 적게 생산하면 부족해집니다. 이것은 인구 대비 생산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10이라는 인구가 10을 생산하면 균형을 이룬다라는 가정하에 10명이라는 인구가 20을 생산하면 두 배 풍요로와지고, 10명이라는 인구가 5를 생산하면 두 배가 부족해집니다.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그렇습니다. 현실은 이론과 달라 많은 변수가 경제를 구성합니다. 10명 이라는 인구가 20을 생산해도 1은 풍요로운데 9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1명이 생산의 12를 가져가고 나머지 9가 8을 나눠가져야 할 때 9명은 조금 부족함을 느낍니다. 총생산 대비 총인구는 부족함과 충분함에 대하여 큰 이야기를 해주지 않습니다. 총생산 대비 총인구에서 총생산이 총인구를 먹여살리기 부족할 때 그 수치는 의미를 가집니다. 즉 인구가 경제의 풍요와 파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 입니다. 인구...